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뉴열기

진남관

충무공 이순신이 전라좌수영 본영으로 사용 조선수군 구국역사의 상징

조선시대 400년간 수군의 본거지였던 여수

국보 진남관은 임진왜란이 끝난 다음해(1599년)에 세운 단층목조 건물로 구국의 상징이자 역사의 현장으로 여수의 상징입니다.
객사의 용도로 이용된 진남관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됐다가 후에 그 중요성과 가치가 인정되어 2001년 국보 제30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진남관 정문 역할을 하고 있는 2층 누각 망해루는 일제강점기에 철거되었으나 복원되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이 전라좌수영의 본영으로 사용

충무공 이순신이 전라좌수영의 본영으로 삼았던 진해루가 있던 자리에 1599년(선조32년) 이순신 후임 통제사 겸 전라좌수사 이시언이 정유재란 때 불타버린 진해루터에 75칸의 대규모 객사를 세우고, 남쪽의 왜구를 진압하여 나라를 평안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진남관(鎭南館)이라고 이름 지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승리로 이끈 수군 중심 기지로서의 역사성과 1718년(숙종44년) 전라좌수사 이제면이 중건한 당시의 면모를 간직하고 있다. 건물 규모가 정면 15칸, 측면 5칸, 건물면적 240평으로 현존하는 지방관아 건물로서는 최대 규모이다. 정면 15칸, 측면 5칸 총 75칸이 되는 건물은 우리나라에서 사찰이나 화랑, 궁전의 행랑, 종묘의 정전 같은 건물을 제외하고는 합천 해인사의 경판고와 진남관 단 두 곳뿐이다.

진남관의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하단부(처마끝)로 갈수록 강회와 적심이 점차 두껍게 시공되었다. 지붕 기와는 평기와(수키와·암키와), 처마 끝의 막새, 용마루와 내림마루의 용두를 포함한 특수와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은 외진주 40개, 내진주 30개 총 70개의 기둥이 확인되었다. 기존에는 기둥이 68개로 알려졌으나 해체공사 중 마루 밑에서 두 개의 초석과 그 위에 잘린 기둥 밑 부분이 발견되어 2개가 복원되었다. 공포(栱包)는 주심포계·익공계·다포계 양상이 다양하게 확인된다.

기둥 위에는 화려한 연꽃 봉우리 문양 장식을 가미하였고 특히 정면 어칸(입구 기둥 사이) 기둥과 우주에는 용머리 장식의 익공 공법을 사용하였다. 각 주칸(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1구씩 화려한 화반을 배열하여 건물의 입면 공간을 살려주고 있으며, 내·외부 및 각 부재에는 금단청 및 모로단청 등이 확인된다. 또한 건물 내부 공간의 효율성을 살리기 위해 건물 양측 안쪽에 내진주열과 다른 위치의 내진주가 일부 배치되었고, 가구는 간결하면서도 건실한 부재를 사용하여 건물의 웅장함을 더해주고 있다.

건물의 양 측면에는 2개의 충량(측면보)을 걸어 매우 안정된 기법을 구사하고 있는 등 18세기 초에 건립된 건물이지만 당시의 역사적 의의와 함께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진남관 내부전경

멀리서 본 진남관 전경

이순신 장군의 전략적인 면모를 볼 수 있는 여수석인

진남관 뜰 안에 세워져 있는 사람 형상의 석인상도 유명하다.
여수는 임진왜란 대 수군의 격전지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사로 있던 전라좌수영은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유적이 많이 남아 있는데 이 역시 그와 인연이 깊은 유물이다.

전라남도 지정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이 여수석인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을 한창 제작할 시기에 왜구의 공격이 심해지자 이를 막기 위해 7개의 석인(돌사람)을 만들어 사람처럼 세워 놓았는데, 이로써 적의 눈을 속여 결국 전쟁을 승리로 이끌게 되었다 한다.

진남관 뜰안에 세워져 있는 석인

진남관 전경

진남관 야경

원래의 7기 중에서 6기는 없어지고, 두건에 도포를 입고 팔짱을 낀 전형적인 문인 형상을 하고 있는 석인상만 유일하게 남아 있다.
단, 하나의 비석으로 당시의 의인전술(擬人戰術)을 밝히기는 어려우나, 조선 중기 돌 신앙으로서의 민속학적 가치와 조각 작품으로서의 예술적 가치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위치

주소 : 전라남도 여수시 동문로 11 망해루

tag진남관, 이순신, 충무공, 전라좌수영, 삼도수군통제영, 임진왜란, 고소동, 구시가지, 여수10경, 시티투어, 1코스, 이순신장군유적코스, 토요역사코스

by nc 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BY-NC-ND)원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담당 부서
문화유산과 문화유산관리
061-659-4757
  • 최종업데이트 2025.10.29
  • 조회수 251,915

여수관광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