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현황 및 문제점
재정 현황
- (자체수입) 국‧내외 경기 여건 악화에 따른 여수국가산단 지방 소득세 급감 등 자체수입 부족으로 지방 재정난 가중 지속
- (세외수입) 경기침체와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납세자의 담세력 저하가 예상되나 다양한 체납액 징수기법 도입을 통해 평균 실적 유지
- (지방세)
- 여수국가산단 석유화학기업 영업실적 악화에 따른 지방소득세 감소, 부동산 경기침체로 취득세·재산세 정체
- 부동산 보유세 완화 정책에도 고금리 및 경기 불황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취득세·재산세 수입 부진
- 지방소득세의 경우, 여수산단 석유화학 업종 영업실적 악화로 ’24년부터 급감하였으며 ’27년부터 세계시장 경쟁 심화로 현재의 추이 지속 예상
- (세외수입) 경기침체와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납세자의 담세력 저하가 예상되나 다양한 체납액 징수기법 도입을 통해 평균 실적 유지
- (지방교부세)
- 국세수입 세수 결손에 따라 보통교부세가 감소한 상황이나 중기적으로 내수 회복‧수출 호조과 함께 증가세 예상
- ’24년에는 경기둔화 여파에 따른 세수 결손으로 지방교부세를 감액 편성하였으나, ’25년에는 기업실적 회복 등 경기 회복에 따라 국세 수입 흐름이 개선될 전망으로 교부세 또한 완만한 증가 전망
- (국고보조금) 건전재정 기조 속에서 보조금 관리체계를 개편하되 사회적약자에 대한 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첨단 전략사업 및 녹색 신산업 육성, 지역주도 발전 지원 등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로 현재 추이 유지 예상
문제점 및 대처방안
의존적 세입 구조 한계
- (유동적 자주재원 확보) 지방세 수입의 46.7%를 차지하고 있는 여수 국가산단의 지방소득세 비중이 높아 자주세원 확보가 가능하나, 경기 영향으로 세수 확보 유동적
- (중앙 의존적 재원 구조) '24년 기준 시 재정자립도가 25.9%로 지방재정의 70%이상을 국ㆍ도비 보조금 등 이전재원에 의존
재정자립도 : (‘22) 29.4% → (’23) 26.9% → (‘24) 25.9%
늘어나는 세출 수요
- (복지재정지출 지속 증가)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초고령사회 진입과 소득 저하 등으로 기초연금ㆍ기초생활 수급자 등 복지비용 부담 증가
복지예산 확대 : (‘22) 4,493억 원 → (’23) 4,856억 원 → (‘24) 5,002억 원(37.4%) - (일자리 창출 확대) 경기 침체에 따른 청년, 노인 등 사회서비스 일자리 등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비용 지속 증가 추세
- (지역개발ㆍ지역경제 활성화 수요 지속) 낙후된 농어촌 사회간접자본 투자 수요 및 지역 광역교통망 구축, 지역밀착 생활SOC사업 등 지원
- (안전 및 기후대응 등 미래 먹거리 창출 대비) 재해ㆍ재난 예방 등 안전분야 투자 확대 및 신산업 혁신성장 등 미래 전략산업의 선제적 재정지원 강화
CCU실증지원센터 구축사업(280억) / 폐플라스틱 자원화소재개발실증기반조성사업(169억)
재원 확보 대책
- (지출구조 조정) 관행적 예산편성 방식 탈피, 과잉투자 개선, 행사‧축제 등에 효율적 예산 편성, 시정기여도 낮은 사업 일몰 등
- (자주재원 확충 노력) 과세대상 확대(지역자원시설세) 및 적극적 지방세 징수활동 등 체계적 세원관리 및 안정적 지방세수 확충 강화
- (지방재정제도 개선 건의) 지방 재정부담 완화를 위한 균특회계 등 지방이양사업 재원 보전기한 5년 단위의 재연장 지속 건의